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뼈와 뼈가 연결되는 부위를 관절이라 하는데(예컨대 무릎을 슬관절이라 함), 뼈가 마주 닿는 부위(관절면이라 함) 또는 그 부근이 골절되는 경우를 관절내골절이라 한다. 반대로 관절내 골절이 아닌 경우를 간부골절이라 하며, 폐쇄성골절에서와 마찬가지로 관절내골절의 표현이 없으면 간부골절을 의미하며, 간부골절, 1/2부골절, 근위부골절, 원위부골절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관절내골절이 문제되는 것은 관절의 연골손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골절의 유합이 더디며, 유합이 되더라도 관절 내 형성된 가골 등이 관절의 기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즉 관절내 골절은 염(관절염)증을 초래할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으며, 관절내 부위는 골막이 없고 관절액에 싸여 있는 한편 관절운동에 의해 골절편이 움직일 수 있어 골절 유합이 늦고, 유합시 관절 내에 가골이 형성되는 경우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하거나 관절기능을 원할하게 하지 못하게 하여 운동제한을 남기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관절 내 골절은 치료 후 장해가 남을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지게 된다. 

 

뼈와 뼈가 연결되는 관절은 인대와 근육 등으로 지지되는데 인대가 부착된 뼈의 일부가 떨어져나가는 경우도 있다. 이를 견열골절이라고 한다. 또 무릎관절 내의 경골 골절을 경골극골절 또는 경골과부 골절이라 표현하기도 하며, 

발목관절의 경우 내과골절 및 외과골절로 표현하기도 한다.

 

여하튼 관절내골절은 치료과정과 치료 후의 상태를 면밀히 주시 관찰하여야 한다.




교통사고로 보상금액이 궁금하다면..

 

체크플러스 이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