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 중 미숙아 튜브로 수유 받다 장애, 병원에 손해배상 책임 있다 입원 중 미숙아 튜브로 수유 받다 장애, 병원에 손해배상 책임 있다 요지 미숙아로 태어나 튜브를 통해 수유 받다가 우유가 역류하는 사고로 장애, 수유 후의 관찰, 대응 조치를 게을리해 내용물이 역류하게 하고 심폐소생술을 시행에 주의의무를 위반한 과실있다. 사실관계 이군은 2009년 1월 1일 몸무게 2.48kg의 미숙아로 태어나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위관수유를 받다가 우유가 역류해 6일 호흡정지 상태에 빠졌고 이로 인해 운동영역과 언어영역 및 인지 영역 등에 문제가 생겼다. 이군의 부모는 의료진의 과실로 장해가 발생했다며 9억 4천여만원을 보상하라는 소송을 냈다. 판결내용 부산지법 민사8부(재판장 박광우 부장판사)는 판결문에서 소화기능이 떨어지는 미숙아에게 위관수유할 때는 내용물이 역류할 수 있으므로 미숙.. 보상지식/판례정보 6년 전
구토증상 환자에 알약 경구복용시켰다면 호흡정지로 인한 환자사망 병원책임있다 구토증상 환자에 알약 경구복용시켰다면 호흡정지로 인한 환자사망 병원책임있다 요지 구토증상 있는 환자에게 가루약이 아닌 알약을 경구 복용시켜 사망에 이르게 한 병원책임있다. 판결내용 서울고법 민사17부(재판장 곽종훈 부장판사)는 판결문에서 진료기록 감정촉탁결과에 의하면 리팜핀 등의 결핵약은 주사로는 투여할 수 없고, 비위관을 통해 투여하거나 경구복용해야 하는 사실이 인정된다. 조씨와 가족이 의료진으로부터 경구복용이 아닌 방법으로 리팜핀을 투여할 수 있는 비위관(Levin tube)의 삽입권유를 받고도 거부한 사실은 인정된다. 병원 의료진이 환자의 진료협력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조씨로 하여금 리팜핀을 경구복용하게 한 것이 과실이라고 볼 수는 없으나, 계속된 구토증상으로 알약의 경구복용시 기도폐쇄의 가능성이 있.. 보상지식/판례정보 6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