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가 환자에게 치료방법`상태 직접 설명 안 했어도 진단서에 써 주었다면 의사 책임을 물을 수 없다
![의사가 환자에게 치료방법`상태 직접 설명 안 했어도 진단서에 써 주었다면 의사 책임을 물을 수 없다](https://blog.kakaocdn.net/dn/bTvqWy/btrQN7gqwpl/3KzzC62lh1p4zjxLTawgp0/img.png)
요지
의사가 환자에게 치료 방법과 상태 등에 대해 직접 설명하지 않았더라도 진단서에 적어 교부했다면, 환자가 치료를 제대로 받지 않아 악화된 책임을 의사에게 물을 수 없다.
사실관계
배모씨는 집에서 설거지를 하다 유리컵을 깨뜨려 오른 손등에 상해를 입고 사흘 뒤 조모씨가 운영하는 정형외과를 찾았다. 조씨는 수술과 4주 간의 치료가 필요하다고 진단했지만 배씨는 수술을 받지 않고 조씨 병원에서 2주 간 방사선 검사와 항생제 투여 등 보존적 치료만 받았다.
그러나 상처가 계속 악화되자 배씨는 S기독병원에 입원해 수술을 받았으나 손가락 하나를 절단하게 됐다. 배씨는 조씨가 보존적 치료만 하면서 상처 악화 방지를 위해 취해야 할 조치를 설명하지 않았다며 조씨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냈다.
1심은 조씨가 단순 처치만을 했을 뿐 상처 진행 정도 등을 설명해 병원을 옮기도록 하지 않아 손가락 하나를 절단하게 됐다며 5500여만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판결내용
대구지법 민사3부(재판장 김기현 부장판사)는 판결문에서 진단서를 보면 조씨가 배씨의 상태와 치료 방법에 대해 설명을 했고 배씨도 진단서를 받으면서 수술의 필요성에 대해 알고 있었다고 봐야 한다. 설령 조씨가 배씨에게 진단서 내용에 대해 설명하지 않았더라도 내용을 충실하게 기재한 진단서를 발급한 것만으로도 설명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씨가 배씨의 상해의 원인과 증상 및 징후 등을 확인하고 보존적 치료를 한 것은 정형외과 1차 의료기관에서 행하는 통상적인 수준의 진료에 상응하는 의료행위이고, 조씨가 발급한 진단서의 향후 치료의견란에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는 진단을 내렸으므로 과실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
오히려 배씨가 조씨의 병원보다 더 큰 병원에 가 수술을 받기로 하고도 아무런 연락 없이 병원을 가지 않았고, 이후 입원을 하고서도 자기공명영상촬영(MRI)을 거부하는 등 수술적 치료에 협조하지 않는 등 조씨의 권유를 따르지 않아 수술 시기를 놓쳐 손가락을 절단할 정도로 상해가 악화된 것으로 봐야 한다고 항소심(대구지방법원 2013나2496)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했던 원심을 취소하고 원고 패소 판결을 했다.
- 디지털손해사정법인
- 전화상담 : 02-458-8216
- 손해사정사 박성정
- 문자상담
![체크플러스, 카카오톡 상담하기](https://blog.kakaocdn.net/dn/SVLG7/btrQJPPaIHJ/zkDIrlKrhkzHJy3Bp3pSfk/img.png)
![체크플러스 교통사고 보상금 자동산출](https://blog.kakaocdn.net/dn/scxST/btrQOaxrPQ8/1aPE96VXqoEFiG8bGgDlhk/img.gif)
'보상지식 > 판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의사에 침 맞고 발가락 괴사, 당뇨 병력있는 피해자에 침 시술만으로 과실 단정 못한다 (0) | 2019.06.10 |
---|---|
싸움 수습 위해 자살우려 재소자 감시 못했다면 재소자 사망에 국가 손배책임 있다 (0) | 2019.06.10 |
자살메모 발견하고도 아무런 조치 안했다면 국가가 배상책임있다 (0) | 2019.06.10 |
무수혈 요구 여호와의증인 환자, 수술 중 사망한 경우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한 의사를 처벌할 수 없다 (0) | 2019.06.10 |
과호흡증후군 병사에 과도한 체력단련훈련, 국가는 자살병사 가족에 손해배상해야한다 (0) | 2019.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