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앵커 멘트 : 오늘의 보험뉴스

📊 현대해상, 보험금 안 주는 건수도 비율도 '손보 빅5' 중 최고...삼성화재는 부지급률 최저

현대해상화재보험은 2024년 손해보험사 중 보험금 부지급률이 가장 높았으며, 부지급건수도 경쟁사보다 20~30% 많았다. 5대 손보사 중 부지급률은 1.57%로, 대부분 약관상 면·부책에 따른 사례가 많았다. 현대해상은 실손보험 및 어린이보험 1위 사업자로서 보험금 청구건수가 많아 부지급건수와 부지급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메리츠화재는 부지급률이 1.55%로 2위를 차지했으며, 삼성화재는 부지급률 1.37%로 가장 낮았다. 농협손해보험은 1.8%로 가장 높은 부지급률을 기록했지만 부지급건수는 적었다.

원문 보기


🤔 비급여 보장 대폭 줄인 ‘5세대 실손보험’… “내 보험은 어떻게 되는 거지?”

5세대 실손보험이 2025년 연말 출시될 예정이며, 비급여 보장이 대폭 축소되고 자기부담률이 상향 조정될 예정입니다. 특히 도수치료와 체외충격파 등 일부 비급여 항목은 제외되며, 중증 질환에 대한 보장은 강화됩니다. 기존 가입자들은 약관에 따라 5세대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보험료가 30~50% 줄어들 전망입니다.

원문 보기


🚗 [N2 뷰] 보험료 인하 누적에 적자 돌아선 자동차보험…손보사 "지속 불가능" 한숨

2024년 국내 손해보험사들의 자동차보험 실적은 97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지속적인 보험료 인하와 손해율 상승 때문이며, 4년 만의 적자 전환이다. 자동차보험 평균 보험료는 2022년부터 인하되었고, 그 영향으로 보험가입대수 증가가 둔화되었으며 손해율도 악화되었다. 대형 손해보험사들은 모두 손해율이 상승했으며, 현대해상은 특히 큰 상승폭을 보였다.

원문 보기


📈 디지털 보험사 또 마이너스 성적표...하나·캐롯은 반등 가능성

2025년에도 디지털 보험사들이 적자 상태를 이어갔으며, 일부 보험사는 적자 폭이 줄어들었으나 흑자 전환에는 실패했다. 캐롯손해보험은 자동차보험 외에도 포트폴리오 다각화로 실적 개선을 보였고, 하나손해보험은 대면 영업 강화를 통해 적자 폭을 크게 줄였다.

원문 보기


💸 금감원, 車보험사기 피해자에 부당 할증 보험료 15.7억원 환급

금융감독원은 2024년 동안 자동차 보험사기 피해자 3,426명에게 부당하게 부과된 보험료 총 15.7억 원을 환급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환급액이 28.7% 증가한 수치로, 특별 캠페인을 통해 환급액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설명됐다. 금감원은 2009년부터 자동차 보험사기 피해자에게 부당하게 할증된 보험료를 환급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원문 보기


👍 삼성생명, 소비자 관심도 1위 차지…한화·교보생명 뒤이어

삼성생명이 2025년 1분기 소비자 관심도 1위를 차지했다. 삼성생명은 4만1395건의 온라인 정보량을 기록하며, 한화생명(3만5580건)과 교보생명(1만8287건)이 뒤를 이었다.

원문 보기


💖 NH농협생명, 농업인 복지를 위한 기부금 10억 조성

NH농협생명은 농업인 복지증진을 위해 농협재단과 기부협약(MOU)을 체결하고, 10억 원 규모의 기부금을 조성한다고 8일 밝혔다. 기부금은 농업인 및 농촌 내 취약 농가를 위한 복지사업에 사용될 예정이다.

원문 보기


💻 스트래티지, ABL생명에 데이터 분석·통합 관리 플랫폼 구축

스트래티지코리아는 ABL생명에 데이터 분석 및 통합 관리 플랫폼을 구축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ABL생명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강화하고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개선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원문 보기


🏙️ 중학동광장 조성 착수…경복궁·청와대 주변 옛 물길 복원 속도

서울시는 종로구 중학동 111번지에 중학동 광장을 조성하기 위해 건물을 철거하고, 2026년까지 광장과 물길을 복원할 계획이다. 이 광장은 경복궁과 청와대 주변 옛 물길 복원 사업의 일환으로, 중학천과 연결되며 삼청동천이 복원될 예정이다.

원문 보기


🏃‍♀️ 한화생명, 2025 청소년 자살예방 캠페인 '함께고워크' 참가자 모집

한화생명은 2025 청소년 자살예방 캠페인 '함께고워크'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8일 밝혔다. 이 캠페인은 청소년 자살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예방하기 위해 생명의전화, KBS한국방송과 공동으로 진행된다.

원문 보기



더 자세한 내용은 각 기사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