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600 복용후 사망, 제조사와 국가는 손해배상 책임이 없다
요지
'페닐프로판올아민(PPA)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감기약 '콘택600'을 먹은 소비자가 뇌출혈로 숨진 사건에서 제조사와 국가는 손해배상 책임이 없다.
사실관계
여씨는 2003년12월1일 유한양행이 제조·판매한 콘택600 1정을 복용한 다음날 뇌출혈로 쓰러져 8일만에 숨졌다.
이에 유족들은 감기약에 함유된 PPA의 부작용으로 뇌출혈이 발생했다며 제조사와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1`2심 재판부는 원고패소 판결했다.
판결내용
대법원 제3부(주심 김영란 대법관)는 판결문에서 예일대가 2000년4월께 공표한 보고서만으로는 PPA가 함유된 감기약과 출혈성 뇌졸중의 상관관계가 명확하지 않으므로 당시 유한양행이 즉각 PPA가 함유된 콘택600의 제조·판매를 중단하지 않은 조치를 두고 과실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어 사용설명서에는 부작용으로 출혈성 뇌졸중이 표시되어 있는 사실 등 주의사항이 기재되어 있는 사실에 비추어 볼때 콘택600에는 출혈성 뇌졸중의 위험에 대한 적절한 경고표시가 기재되어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제조사인 유한양행에게 일반 소비자들에 대해 사회통념상 합리적인 설명, 지시, 경고 등의 표시를 하지 않은 과실이 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
또 감기약의 경우에도 출혈성 뇌졸중의 위험이 있는지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봐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서울대에 연구를 의뢰한 점, 식약청이 그 전에도 PPA 함유 감기약에 대해 출혈성 뇌졸중의 위험을 경고하라고 제약회사에 지시한 적이 있는 점 등을 종합해볼 때 식약청공무원 등에게 과실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콘택600을 먹은 뒤 뇌출혈로 숨진 여모씨의 유족이 유한양행과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 상고심(대법원 2007다52287)에서 원고패소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 디지털손해사정법인
- 전화상담 : 02-458-8216
- 손해사정사 박성정
- 문자상담
'보상지식 > 판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원 감염 슈퍼박테리아, 처치 늦은 병원에 손해배상책임있다 (0) | 2019.06.03 |
---|---|
집배원 과실로 소장 등 잘못 배달돼 손해났다면 국가가 배상해야 한다 (0) | 2019.06.03 |
과거 잘못된 판결로 국민이 피해, 소멸시효 완성 주장은 권리남용에 해당하므로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 (0) | 2019.06.03 |
민통선 내 지뢰사고 감독임무를 수행하던 감독병 및 경계병들이 감시 및 통제 임무를 해태한 과실 있어 국가에 배상 책임있다 (0) | 2019.06.03 |
알코올 중독 환자 화장실서 낙상, 병원 30% 책임있다 (0) | 2019.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