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채택 방법 변경하며 미리 공지 않았더라도, 출판사가 입은 손해, 국가 배상책임 없다

요지
국가가 교과서 채택 방법을 변경하면서 출판사들에게 미리 공지하지 않았더라도 출판사들이 교과서 개발에 쓴 비용을 배상할 책임이 없다.
사실관계
교과부는 2008년 8월 고교 1학년용 과학 교과서를 사기업이 제작한 교재로 정하기로 하고 검정심사 실시 공고를 했다. 교학사 등은 공고를 보고 검정심사본 제작에 착수했다. 하지만 이듬해 교과부는 교과서 채택방법을 검정제에서 인정제로 변경했고, 당시 개발한 교과서를 판매할 수 없게 된 출판사들은 소송을 냈다.
1심은 교육과정은 시대변화에 발맞춰 끊임없이 바뀌는 것이고, 출판사들도 교육과정의 전면, 부분 개정 등 개편 사유 발생시 검정합격 유효기간이 종료된다는 것을 사전에 잘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원고패소 판결했다.
2심은 담당 공무원이 교육과정이 개정될 것이라는 공지를 출판사들에게 미리 해줄 수 있었는데도 그러지 않았다면서 원고들에게 20억여원을 배상하라는 취지로 원고일부승소 판결을 내렸다.
판결내용
대법원 민사3부(주심 권순일 대법관)는 판결문에서 당시 교과서 검정 담당 공무원이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체계가 개편되고 교과서 채택방법이 변경될 것을 예견할 수 있었다고 보기 어려운데도 이를 예견할 수 있었다고 전제하면서 공무원에게 불법행위 책임을 인정한 원심 판단은 잘못됐다.
공무원에게 특정한 행동을 할 것을 명시적으로 정해둔 법령이 없다면 공무원이 특정 행위를 하지 않았다고 해서 이를 '고의 또는 과실로 법령에 위반'했다고 문제 삼을 수는 없다.
또 법령의 규정이 없는 때라면 공무원이 그와 같은 결과를 예견해 그 결과를 회피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있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해야 한다고 ㈜교학사 등 9개 출판사가 교육과학기술부가 과학교과서 관련 정책을 갑자기 변경하는 바람에 출판사가 교과서 개발비 등을 손해봤다며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 상고심(대법원 2012다29588)에서 원고일부승소 판결한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 디지털손해사정법인
- 전화상담 : 02-458-8216
- 손해사정사 박성정
- 문자상담


'보상지식 > 판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뚜껑 망가진 맨홀서 골절, 지자체는 이를 방치한 관리상 책임이 있다 (0) | 2019.08.12 |
---|---|
구치소 수감자끼리 시비 중 폭행당해 난청증상이 생겼다면 국가에도 손해배상 책임이 있다 (0) | 2019.08.12 |
여름철 집중호우 침수피해, 지자체가 배상할 필요 없다 (0) | 2019.08.12 |
한전 소액주주, 전기요금 낮아 손해 국가 상대 7조원 소송, 법을 위반한 것으로 볼 수 없다 (0) | 2019.08.12 |
관심병사 분류해 전문가 면담 등 적극적 조치했다면, 비록 자살했어도 국가 책임으로 볼 수는 없다 (0) | 2019.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