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보험사들이 개인용자동차보험을 제대로 인수 하지 않고, 사고발생 등을 트집잡아 보험료가 1.5배 이상 비싼 공동인수물건으 로 넘겨 보험료 폭리를 취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소비자연맹에 따르면 자동차보험 공동인수물건은 2013년 4만 7천건이었으 나 2014년 9만건, 2015년 25만 3천건, 작년에는 47만 5천건으로 불과 4년만 에 10배 이상 폭등했으며, 개인용은 2013년 1만 7천건에서 2016년 26만 7천 건으로 15.7배나 급증했다. 즉, 손보사들은 지속적인 자동차보험료 인상, 자동차손해율 하락, 2016 년 3조 4천억원의 사상최대의 이익을 냈음에도 인수 강화와 공동물건 인수기 준의 자의적 해석으로 선량한 보험소비자들을 공동인수물건으로 내몰고 있다고 지적했다. 1
금융감독원은 작년 4월자동차보험 불합리한 관행 개선방안의 하나로 공동인수제도를 원점에서 검토해 금년 4월부터 시행하겠다고 발표했으나 1년이 지나도 록 가이드라인 제정도 못하고 아직도 향후 일정이 불투명한 상태이다. 결국 금융당국이 손을 놓고 있는 1년 사이에 개인용자동차보험 공동인수 물건이 전년 대비 105.4%나 급증해 보험소비자들만 피해를 본 셈이다.
손해보험사들은 2016년 상반기에도 개인용자동차보험료를 2.5% ~ 8.6%로 인 상했고 금년에도 10개 손보사들이 평균 0.68% 내외로 보험료를 인상했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2015년 91.1%에서 2016년 88%로 3.1%P 개선됐으며, 자동차 수입보험료는 2014년 12조 8,570억원에서 3년만에 15조 6,560억원으 로 2조 7,990억원이나 증가했다. 당기순이익 또한 사상최대인 3조 4,681억원 으로 전년대비 7,529억원으로 27,7%나 증가했다.
금융소비자연맹 이기욱 사무처장은 자동차보험은 사고가 나면 보험료가 할증 되는 구조임에도 보험사의 지나친 인수 강화와 자의적 해석으로 공동인수 물 건으로 몰아가는 건들이 급증하고 있다며 금융당국은 빠른 시일내에 가이드 라인을 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 가나손해사정법인
- 전화상담 : 02.715.4972.
- 손해사정사 김영현
- 문자상담
- 자동차보험 공동인수는 사고위험율이 높아 손보사들이 공동으로 인수하는 제 도로 일반 정상적인 가입에 비해 기본보험료가 50%이상 비싸게 할증되며, 전 체보험료를 정상적인 보험료와 비교할 때 약 2-3배가량 높은 보험료을 내야 한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