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자 명의로 보험 가입, 보험료 반환 안된다
요지
사망한 사람임을 알면서도 피보험자로 해 보험에 가입했다면 납입한 보험료를 돌려받을 수 없다.
사실관계
O사는 2010년과 2011년에 걸쳐 E보험사와 자동차등록부상 소유자인 직원 김모씨를 피보험자로 해 자동차보험계약을 체결하고 보험료로 97만5000원을 납부하고 이후 긴급출동비용 등으로 4만4000원을 지급받았다. 하지만 E보험사는 보험료 지급 과정에서 피보험자 김씨가 이미 2003년 사망한 사실을 알고 보험계약이 무효라고 통지했다. 원고는 차량 소유자와 피보험자가 같아야 한다는 보험가입 요건 때문에 선의로 김씨를 피보험자로 계약을 체결한 것이므로 납입한 보험료를 돌려달라며 지난해 6월 소송을 냈으나 1심에서도 패소했다.
판결내용
서울중앙지법 민사4부(재판장 신광렬 부장판사)는 판결문에서 피보험자가 보험계약 당시 이미 사망했다면 보험사고가 발생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해 상법 제644조에 의해 보험계약은 무효가 된다. 보험 가입 당시 직원이 이미 사망한 사실을 알고도 보험계약을 체결했으므로 보험사가 사망한 사람을 피보험자로 하면 보험계약이 무효라는 사실을 알렸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무효다.
보험계약의 전부 또는 일부 무효인 때에는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선의이며 중대한 과실이 없으면 보험료 일부나 전부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지만 O사는 이미 사망한 직원을 피보험자로 해 계약을 맺은 것은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에 해당하므로 보험료를 반환할 책임이 없다고 대부업체 O사가 보험 계약이 무효이므로 납부한 보험료를 돌려달라며 E보험사를 상대로 낸 부당이득금반환 청구소송(서울중앙지방법원 2011나57523)에서 원고패소 판결했다.
- 디지털손해사정법인
- 전화상담 : 02-458-8216
- 손해사정사 박성정
- 문자상담
'보상지식 > 판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배원의 등기우편 배달 허위공문으로 지급한 보험금 국가가 배상해야한다. (0) | 2018.05.14 |
---|---|
발레파킹 했다 도난된 차량, 건물주가 배상책임을 져야 한다. (0) | 2018.05.14 |
문진·채뇨 등 건강검진도 의료행위 해당, 의사 감독없이 이뤄졌다면 '보건법' 위반 (0) | 2018.05.11 |
'방화' 증거불충분으로 무혐의 처분받은 계약자에 화재 보험금 지급 않을수도 있다 (0) | 2018.05.11 |
쌍둥이 임신중 동일한 내용의 보험 2건 체결했다면 두번째 가입 보험이 둘째아이 보험 해당 (0) | 2018.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