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하철 리프트에서 장애인 추락사, 도시철도공사가 배상하라
![지하철 리프트에서 장애인 추락사, 도시철도공사가 배상하라](https://blog.kakaocdn.net/dn/kBjjh/btrPoy86JIw/JVrUlLUuRkjTRNaDl93mHK/img.png)
요지
지하철 리프트에서 장애인 추락사, 도시철도공사는 안전배려 의무소홀의 책임있다
사실관계
원고 윤씨는 교통사고로 하반신 1급 장애인이 된 아버지가 지난 2002년 5월 전동휠체어를 타고 지하철 5호선 발산역에서 역내 근무자들이 식사하러 갔다는 이유로 안내만 하고 도와주지 않는 바람에 혼자 리프트를 타고 지상 출입구로 올라와 리프트에서 내리던 중 계단 아래로 추락해 사망하자 소송을 제기했다.
판결내용
대법원 민사3부(주심 姜信旭 대법관)는 판결문에서 원심의 과실상계 사유에 관한 사실인정이나 그 비율 판단이 수긍할 수 있는 범위 내로서 형평의 원칙에 비춰 현저히 불합리하다고 볼 수 없다고 2002년 지하철 5호선 발산역에서 전동휠체어 리프트 추락사고로 숨진 윤모씨의 아들(38)이 서울시 도시철도공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 상고심(대법원 2004다58338)에서 피고는 원고의 위자료 5천만원과 망인의 위자료 9천만원 등 모두 1억4천2백여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승소판결을 내린 원심을 확정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피고는 장애인에 대한 안전배려 의무를 소홀히 해 휠체어 리프트의 관리상 잘못으로 사고를 야기 시켰고, 특히 당시 역무원이 안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윤씨가 휠체어 리프트를 탑승하고 안전하게 하차를 할 수 있도록 보살펴주는 등 장애인에 대해 작은 배려를 했더라면 사고를 손쉽게 피할 수도 있었다는 점에서 피고에 대한 과실은 비난의 정도가 높다고 밝혔었다.
- 디지털손해사정법인
- 전화상담 : 02-458-8216
- 손해사정사 박성정
- 문자상담
![체크플러스, 카카오톡 상담하기](https://blog.kakaocdn.net/dn/p306f/btrPukuq4je/IzTCKDIj8HoRJEqxCOtKwK/img.png)
![체크플러스 교통사고 보상금 자동산출](https://blog.kakaocdn.net/dn/ZIBr1/btrPpWBQI1D/LIomxHKlYvkxmpgLe2eEM0/img.gif)
'보상지식 > 판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물 임차인에도 일조권 침해로 인한 손해 인정된다 (0) | 2020.01.08 |
---|---|
대출심사 소홀했다면 은행도 책임이 있다 (0) | 2019.12.27 |
지하철 소음 따른 정신적 고통 인근주민에 위자료 줘야한다 (0) | 2019.12.27 |
부실수업한 대학재단은 학생들에게 손해배상을 해야한다 (0) | 2019.12.27 |
한강조망권 독자적 이익 아니다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