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길에서 시동 꺼진 상태로 뒤로 밀려 추돌사고 났다면 운전으로 볼 수 없어 특가법상 위험운전치상죄로 처벌 못한다
![경사길에서 시동 꺼진 상태로 뒤로 밀려 추돌사고 났다면 운전으로 볼 수 없어 특가법상 위험운전치상죄로 처벌 못한다. 대법원 2020도9994 판결](https://blog.kakaocdn.net/dn/2uXPk/btrTEYBMGAO/SKbK2QA6Kod4uwfX0OYWYK/img.jpg)
요지
차량이 경사길에서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뒤로 밀리며 추돌 사고가 난 때에는 특정범죄가중법상 위험운전치상죄로 처벌할 수 없다.
'운전'을 한 경우로 볼 수 없다는 것
사실관계
중국 국적 대학원생인 A씨는 2018년 7월 100m가량 음주운전을 한 뒤 지인 B씨에게 운전을 맡겼는데, A씨가 차에서 내리는 과정에서 시동장치인 스톱 앤 고(STOP&GO) 기능이 해제됐고 차량 시동이 꺼졌다.
B씨가 운전석에 앉아 시동 버튼을 눌렀지만, 시동은 걸리지 않았고 오히려 차량이 뒤로 밀렸다. 그러자 A씨가 다시 운전석에 올라 조작했지만, 시동이 걸리지 않은 채 차량이 뒤로 밀려 정차해 있던 택시와 부딪혔고, 택시기사가 전치 2주의 상해를 입었다.
위험운전치사상죄를 규정하고 있는 특정범죄가중법 제5조의11 제1항은 '음주 또는 약물의 영향으로 정상적인 운전이 곤란한 상태에서 자동차(원동기장치자전거 포함)를 운전하여 사람을 상해에 이르게 한 사람은 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상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고, 사망에 이르게 한 사람은 무기 또는 3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도록 하고 있다.
1심은 A씨가 제동장치를 조작해 차량을 운전하다 사고가 났다며 벌금 1000만원을 선고했다.
2심은 자동차를 '본래의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하는 것'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의 원동기를 사용할 것이 필요하다. 내리막길에 주차되어 있는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를 풀어 타력주행을 하는 등의 행위는 도로교통법상의 '운전'에 해당하지 않는다.
A씨에게 위험운전치상죄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A씨가 차량을 '운전'한 점이 인정돼야 한다. 이를 인정하기 위해선 A씨가 차량 엔진을 시동시키고 발진 조작을 완료하는 등의 사실이 인정돼야 한다.
그러면서 사고 당시 차량 엔진 시동은 꺼진 상태였고, 차량이 뒤로 진행했더라도 A씨의 의지나 관여 없이 경사진 도로에서 차량이 뒤로 움직인 것이어서 '운전'으로 볼 수 없다며 위험운전치상 혐의는 무죄로 판단했다. 다만 음주운전 혐의는 유죄로 인정해 벌금 400만원을 선고했다.
판결내용
대법원 형사3부(주심 김재형 대법관)는 음주운전 및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위험운전치상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벌금 4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대법원 2020도9994)했다.
- 디지털손해사정법인
- 전화상담 : 02-458-8216
- 손해사정사 박성정
- 문자상담
![체크플러스, 카카오톡 상담하기](https://blog.kakaocdn.net/dn/K1BaT/btrTF9WULSB/z0SSiku3s0SVVXiK4RpJrK/img.png)
![체크플러스 교통사고 보상금 자동산출](https://blog.kakaocdn.net/dn/GECdf/btrTJOxEdas/7dJgbdSp1UK32WUjDNCzjK/img.gif)
'보상지식 > 판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관령 급커브 구간서 차량이 추락해 운전자가 사망했다면 안전시설 설치 않은 국가가 배상책임이 있다 (0) | 2022.12.16 |
---|---|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 자동차가 먼저 진입했어도 일시 정지, 보행자 통행여부 확인의무 있다 (0) | 2022.12.15 |
전동킥보드 충전 중 화재 발생은 제조사에 책임있다 (0) | 2022.12.15 |
고장난 차 이동시키려 만취상태에서 시동 걸었지만 차량이 움직이지 않았다면 음주운전으로 볼 수 없다 (0) | 2022.12.15 |
나이롱 입원으로 보험금 1100여만원 부당 편취한 가입자의 보험계약 해지할 수 있다 (0) | 2022.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