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의 이해

category Check Plus/Hot Issue 2022. 12. 28. 15:39
반응형

개 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영어: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는 대한민국에서 의무기록자료 및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 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보건의료 현상을 파악하는 통계를 작성할 때 표준화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일관성 및 비교성 있는 자료를 확보한다.

 

우리나라에서 질병·사인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1929년)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를 시작한 1938년 부터이며, 제 7차 개정에서는 WHO에서 권고한 국제질병분류(ICD-10) 업데이트 내용을 반영하고 우리나라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비하였으며, 한의분류를 재정비하고, 분류 가능한 희귀질환을 반영하였으며 의학계의 의견을 반영하여 질병용어를 정비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였습니다. 이는 2015년 9월 24일 개정 고시(통계청 고시 제2015-309호)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하였습니다.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영어: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

 

분류목적

  • 질병·사인분류는 의무기록자료,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입니다.
  •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고 있습니다.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의 분류원칙

  • 이환 병태의 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상호 독립적인 제한된 수의 항목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전염성 질환, 체질적 또는 전신적 질환, 부위에 따른 국소질환, 발육 질환, 손상)
  • 분류 항목은 질병 현상에 대한 통계적 연구가 용이하도록 선정되어야 합니다.
  • 어떤 질병이 공중보건에 특히 중요하거나 자주 발생한다면 독립 항목을 가져야 합니다.
  • 세 번째 이외의 항목들은 서로 관련을 갖는 병태들로 이루어진 별도의 묶음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 모든 질병 또는 이환 병태는 적합한 항목에 분류되어야 합니다.

 

분류구조 및 부호체계

  • 본분류 : 대·중·소·세·세세분류의 단계적 분류체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분류 22개, 중분류 267개, 소분류 2,093개, 세분류 12,603개, 세세분류 6,335개)
  • 기타분류 : 신생물의 형태 분류 (본분류 중「Ⅱ. 신생물」에 대한 분류를 세포조직학적으로 분류)

 

질병분류코드 제정 및 개정 내용

구분 고시일자 시행일자 주요내용
제8차 개정 2020.07.01. 2021.01.01. WHO가 권고한 국제질병분류(ICD-10)와 종양학국제질병분류(ICD-O-3)의 최신 변경 내용을 반영하였고, 사전 현장적용시험을 통해 우리나라 세분화 분류를 사전 검토하였으며, 활용도가 낮은 분류는 정비하고, 신규 희귀질환을 반영하였으며, 의학용어는 전문분야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일반인이 이해하기 쉬운 한글 용어로 수정
제7차 개정 2015.09.24. 2016.01.01. WHO의 ICD-10 변경 사항을 적용하며(2014년), 한국의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의학 분류와 분류가능한 희귀질환 반영, 그리고 질병 용어를 정리
제6차 개정 2010.11.01. 2011.01.01. 질병코드 세분화하고, WHO의 ICD-10 변경 사항(’06~’08년)을 적용하며, 질병분류 용어의 변경사항을 반영.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등 의견 수렴 자문 및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로 확정
제5차 개정 2007.07.02. 2008.01.01. WHO에서 회원국에 권고한 ICD-10 변경 사항(’98~’05년) 반영, 신생물 형태분류를 ICD-O-2판과 3판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던 것을 ICD-O-3판 기준으로 사용하여 KCD와의 상응체계를 정비
제4차 개정 2002.07.23. 2003.01.01.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분류 수정판을 작성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그 동안 어려운 한자용어로 되어 있던 질병용어를 알기 쉽고 현실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
제3차 개정 1993.11.20. 1995.01.01. 매 10년 개정의 원칙에 따라 제43차 세계보건총회에서 제10차 국제질병분류를 개정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
제2차 개정 1979.01.01. 1979.01.01. 의학의 발전과 새로운 통계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29차 세계보건총회에서 결정된 제9차 국제질병분류를 기초
제1차 개정 1972.10.26. 1973.01.01.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통계청 전신)에서 제8차 개정 국제질병분류(1968년)에 따름

 

질병분류코드 대분류

구분 kcd 대분류
전신을 침해한 질환군 Ⅰ.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A00-B99)
Ⅱ. 신생물(C00-D48)
전신병적 질환군 Ⅲ.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한 특정 장애(D50-D89)
Ⅳ.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E00-E90)
인체 해부학적 계통별 질환군 Ⅴ. 정신 및 행동 장애(F00-F99)
VI. 신경계통의 질환(G00-G99)
Ⅶ. 눈 및 눈 부속기의 질환(H00-H59)
Ⅷ. 귀 및 유돌의 질환(H60-H95)
Ⅸ. 순환계통의 질환(I00-I99)
Ⅹ. 호흡계통의 질환(J00-J99)
ⅩⅠ. 소화계통의 질환(K00-K93)
ⅩⅡ. 피부 및 피하조직의 질환(L00-L99)
ⅩⅢ.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M00-M99)
ⅩⅣ. 비뇨생식계통의 질환(N00-N99)
분만·기형·신생아 질환 ⅩⅤ. 임신, 출산 및 산후기(O00-O99)
ⅩⅥ.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특정 병태(P00-P96)
ⅩⅦ. 선천기형, 변형 및 염색체이상(Q00-Q99)
기타 병태 ⅩⅧ.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징후와 임상 및 검사의 이상소견(R00-R99)
ⅩⅨ. 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 기타 결과(S00-T98)
기타 분류 ⅩⅩⅡ. 특수목적 코드(U00-U99)
ⅩⅩ.질병이환 및 사망의 외인(V01-Y98)
ⅩⅩⅠ. 건강상태 및 보건서비스 접촉에 영향을 주는 요인(Z00-Z99)

 

질병분류코드 중분류 (예: S코드)

kcd 중분류 (신체부위) kcd 소분류 (손상형태)
머리, 두부
(S00-S09)
(S00) 머리의 표재성 손상
(S01) 머리의 열린상처
(S02) 두개골 및 안면골의 골절
(S03) 머리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04) 뇌신경의 손상
(S05) 눈 및 안와의 손상
(S06) 두개내손상
(S07) 머리의 으깸손상
(S08) 머리 부분의 외상성 절단
(S09) 머리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
목, 경부
(S10-S19)
(S10) 목의 표재성 손상
(S11) 목의 열린상처
(S12) 목의 골절
(S13) 목부위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14) 목부위의 신경 및 척수의 손상
(S15) 목부위의 혈관의 손상
(S16) 목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17) 목의 으깸손상
(S18) 목부위의 외상성 절단
(S19) 목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
흉부
(S20-S29)
(S20) 흉부의 표재성 손상
(S21) 흉부의 열린상처
(S22) 늑골, 흉골 및 흉추의 골절
(S23) 흉곽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24) 흉부부위의 신경 및 척수의 손상
(S25) 흉부 혈관의 손상
(S26) 심장의 손상
(S27) 기타 및 상세불명의 흉곽내기관의 손상
(S28) 흉부의 으깸손상 및 흉부 부분의 외상성 절단
(S29) 흉부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
복부, 아래등, 요추 및 골반
(S30-S39)
(S30) 복부, 아래등 및 골반의 표재성 손상
(S31) 복부, 아래등 및 골반의 열린상처
(S32) 요추 및 골반의 골절
(S33) 요추 및 골반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34) 복부, 아래등 및 골반 부위의 신경 및 허리척수의 손상
(S35) 복부, 아래등 및 골반 부위의 혈관의 손상
(S36) 복강내기관의 손상
(S37) 비뇨 및 골반 기관의 손상
(S38) 복부, 아래등 및 골반의 으깸손상 및 외상성 절단
(S39) 복부, 아래등 및 골반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
어깨 및 위팔
(S40-S49)
(S40) 어깨 및 위팔의 표재성 손상
(S41) 어깨 및 위팔의 열린상처
(S42) 어깨 및 위팔의 골절
(S43) 견갑대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44) 어깨 및 위팔 부위의 신경의 손상
(S45) 어깨 및 위팔 부위의 혈관의 손상
(S46) 어깨 및 위팔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47) 어깨 및 위팔의 으깸손상
(S48) 어깨 및 위팔의 외상성 절단
(S49) 어깨 및 위팔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
팔꿈치 및 아래팔
(S50-S59)
(S50) 아래팔의 표재성 손상
(S51) 아래팔의 열린상처
(S52) 아래팔의 골절
(S53) 팔꿈치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54) 아래팔 부위의 신경의 손상
(S55) 아래팔 부위의 혈관의 손상
(S56) 아래팔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57) 아래팔의 으깸손상
(S58) 아래팔의 외상성 절단
(S59) 아래팔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
손목 및 손
(S60-S69)
(S60) 손목 및 손의 표재성 손상
(S61) 손목 및 손의 열린상처
(S62) 손목 및 손부위의 골절
(S63) 손목 및 손부위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64) 손목 및 손 부위의 신경의 손상
(S65) 손목 및 손 부위의 혈관의 손상
(S66) 손목 및 손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67) 손목 및 손의 으깸손상
(S68) 손목 및 손의 외상성 절단
(S69) 손목 및 손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
고관절 및 대퇴부
(S70-S79)
(S70) 엉덩이 및 대퇴의 표재성 손상
(S71) 엉덩이 및 대퇴의 열린상처
(S72) 대퇴골의 골절
(S73) 고관절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74) 엉덩이 및 대퇴 부위의 신경의 손상
(S75) 엉덩이 및 대퇴 부위의 혈관의 손상
(S76) 엉덩이 및 대퇴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77) 엉덩이 및 대퇴의 으깸손상
(S78) 엉덩이 및 대퇴의 외상성 절단
(S79) 엉덩이 및 대퇴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
무릎 및 아래다리
(S80-S89)
(S80) 아래다리의 표재성 손상
(S81) 아래다리의 열린상처
(S82) 발목을 포함한 아래다리의 골절
(S83) 무릎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84) 아래다리 부위의 신경손상
(S85) 아래다리 부위의 혈관의 손상
(S86) 아래다리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87) 아래다리의 으깸손상
(S88) 아래다리의 외상성 절단
(S89) 아래다리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
발목 및 발
(S90-S99)
(S90) 발목 및 발의 표재성 손상
(S91) 발목 및 발의 열린상처
(S92) 발목을 제외한 발의 골절
(S93) 발목 및 발 부위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94) 발목 및 발 부위의 신경의 손상
(S95) 발목 및 발 부위의 혈관의 손상
(S96) 발목 및 발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97) 발목 및 발의 으깸손상
(S98) 발목 및 발의 외상성 절단
(S99) 발목 및 발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

 

 


 

체크플러스, 카카오톡 상담하기
친구등록 후 전문사정사와 카카오톡으로 상담하세요


 

 

체크플러스 교통사고 보상금 자동산출
교통사고로 보상금액이 궁금하다면..

 

체크플러스 이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