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헌법소원 접수일 잘못 보고 청구기간 도과로 각하, 잘못된 헌재 결정에 국가손배 첫인정

 

헌법소원 접수일 잘못 보고 청구기간 도과로 각하, 잘못된 헌재 결정에 국가손배 첫인정

 

요지

 

적법한 청구기간 내에 제기된 헌법소원에 대해 접수일을 잘못 알고 청구기간 도과를 이유로 각하한 헌법재판소의 잘못된 결정에 대해 각하결정으로 본안판단을 받지 못한 헌법소원 청구인에게 국가가 위자료를 물어 줘야 한다.

 

헌법재판소 결정 과정에서의 오류에 대해 대법원이 국가배상책임을 인정한 1988년 헌재 설립이후 첫판결

 

사실관계

 

문화재관리국 직원으로 서울의 한 고궁사무소에서 근무하던 이모씨는 지난 93년 사무소장 남모씨 등이 자신을 징계할 목적으로 허위공문서를 만들어 문화재관리국장에게 제출했다고 주장하며 이들을 허위공문서작성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소했으나 검찰이 불기소처분을 내리자 항고와 재항고를 거쳐 94년 11월 4일 헌재에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했다.

 

헌재는 11월 4일로 돼있는 헌법소원 제기일을 같은달 14일로 잘못 보고 95년 6월 이씨의 헌법소원 사건을 재항고기각결정을 송달받은 날로부터 30일내에 헌법소원을 내야 하는데 청구기간을 도과해 부적법하다며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각하했다. 

 

이씨의 헌법소원은 청구일 만료를 2일 남겨두고낸 적법한 것이었다. 

 

이씨는 적법한 헌법소원을 헌재가 부적법하게 각하함으로써 본안판단을 받을 권리를 상실해 헌법이 보장한 재판을 받을 권리와 행복추구권이 침해당했다며 위자료 2천만원과 헌법소원 제기 때 들었던 변호사 선임비용 6백만원의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냈었다. 

 

판결내용

 

대법원 민사2부(주심 孫智烈 대법관)는 판결문에서 원고가 헌법소원 심판청구를 적법한 기간내에 제기했음에도 헌법재판소 재판관이 청구서 접수일을 오인해 청구기간이 도과했음을 이유로 각하결정을 한 잘못은 법이 헌법재판소 재판관의 직무수행상 준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기준을 현저히 위반한 경우에 해당돼 국가배상 책임을 인정하는 것이 상당하다. 

 

이어 재판관의 위법한 직무집행의 결과 잘못된 각하결정을 함으로써 원고로 하여금 본안판단을 받을 기회를 상실케 한 이상 설령 본안판단을 했더라도 어차피 청구가 기각됐을 것이라는 사정이 있다고 하더라도 잘못된 판단으로 인해 헌법소원심판 청구인의 합리적인 기대를 침해한 것이라며 이러한 기대는 인격적 이익으로서 보호할 가치가 있다고 할 것이므로 그 침해로 인한 정신상 고통에 대하여는 위자료를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적법한 청구기간 내에 헌법소원을 냈으나 청구기간이 도과됐다는 이유로 각하 결정을 받은 이모씨가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소송  상고심(대법원 99다24218)에서 원, 피고의 상고를 기각, 피고는 이씨에게 2백만원을 주라고 원고승소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상고가 접수된 지 4년 2개월여만의 선고로, 대법원이 판결에 적잖이 고심했음을 짐작케한다.

 

 


 

체크플러스, 카카오톡 상담하기
친구등록 후 전문사정사와 카카오톡으로 상담하세요

 

체크플러스 교통사고 보상금 자동산출
교통사고로 보상금액이 궁금하다면..

 

체크플러스 이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