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복무 중 신속한 치료받을 수 없어 고환 절제했다면 국가유공자 해당한다

요지
군복무 중 신속한 치료를 받지 못해 고환을 절제했다면 국가유공자에 해당한다.
고환염전이란 외부 충격과 낮은 기온 등으로 고환과 고환을 지탱하는 혈관이 함께 비틀어지는 증상으로 발생 후 8시간 이내에 신속한 진단과 수술로 원상태로 되돌리지 않으면 고환이 혈액공급부족으로 괴사해 버리는 질병
이번 판결은 최근 군부대 내 의료시설부실이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당국에 사병들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군 의료체계를 확립할 것을 촉구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풀이됨
사실관계
1990년2월 입대해 통신병으로 근무한 A씨는 전역 5개월을 앞두고 '고환염전'에 걸려 고환을 절제했다. 이후 A씨는 전역 16년 후인 2008년 5월 서울북부보훈지청에 "부대에서 신속한 치료를 받지 못해 고환을 절제해야만 했다"며 국가유공자등록신청을 했다.
하지만 보훈지청이 "A씨가 선천적으로 고환을 지탱하는 조직이 약해 고환염전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는 의학적 소견이 있다"며 국가유공자등록을 거부하자 소송을 냈다.
판결내용
서울행정법원 행정2단독 김도균 판사는 판결문에서 원고가 의무복무 중이 아니었더라면 발병시점으로부터 24시간 내에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아 고환을 보존했을 가능성이 높았다.
원고가 헌법상의 병역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거주이전의 자유를 제한당한 채 소속돼 있던 군의 의료체계가 응급치료를 요하는 원고에 대해 신속하고 적절한 검사와 치료를 하지 못해 상이의 악화를 막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A씨가 서울북부보훈지청장을 상대로 제기한 국가유공자등록거부처분취소소송(서울행정법원 2009구단10744)에서 원고승소 판결했다.
- 디지털손해사정법인
- 전화상담 : 02-458-8216
- 손해사정사 박성정
- 문자상담


'보상지식 > 판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사가 오판을 했더라도 부당한 목적 없으면 손배책임 없다 (0) | 2019.05.07 |
---|---|
초진병원 뒤바뀐 검사결과 보고 다른 병원서 유방절개했다면 초진 병원에만 손해배상 책임이 있다 (0) | 2019.05.07 |
총기강도 잡으려다 부상당한 시민에게 국가가 피해를 배상해야 한다 (0) | 2019.05.02 |
백신접종 후 간질장애 판정받은 경우 인과관계 인정해야한다 (0) | 2019.05.02 |
여권 무단취소로 신혼여행 차질을 빚었다면 국가는 배상책임 있다 (0) | 2019.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