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보직 이동으로 발생한 질병도 공무상 재해로 인정해야 한다
요지
공무원이 업무 경험이 없는 부서에 관리자로 부임한 뒤 잦은 보직 이동에 시달리며 단기간에 과중한 업무를 처리하다 질병을 얻었다면 공무상 재해로 인정해야 한다.
사실관계
A씨는 1979년부터 국방부에서 근무하다 2006년 방위사업청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방위사업청에서 2013년 7월~2015년 1월까지 계약관리본부 팀장으로, 2015년 1월~2016년 6월까지 사업관리본부 팀장으로, 2016년 7월부터는 운영지원과장으로 근무하는 등 약 1년 6개월 간격으로 3차례 보직 이동을 했다.
A씨는 종전까지 방위사업청 각 부서에서 근무하거나 업무를 수행한 적이 없었는데, 각 부서별 업무의 내용과 성격은 다 달랐다. 그러다 2017년 8월 A씨는 대장염 진단을 받았고 공무원연금공단에 공무상 요양승인신청을 냈지만, 공단은"공무 및 공무상 과로와 질병이 인과관계가 없다며 거부했다. 이에 반발한 A씨는 소송을 제기했다.
판결내용
서울고법 행정6부(재판장 박형남 부장판사)는 A씨는 2013년 계약관리본부 팀장을 맡게 된 이후부터 2017년까지 연속해 두 번이나 1년 6개월만에 업무 성격이 전혀 다른 직책을 맡도록 보직이 변경됐다. 이는 방위사업청 인사규정이 정한 필수보직기간 3년의 절반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A씨는 상이한 성격의 업무와 보직에 적응하기 위해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것이다.
A씨는 업무경험이 없는 운영지원과 과장으로 근무하며 군인 진급추천심사, 청원경찰 고용승계 불안 해소를 위한 방안 마련 등 당사자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리는 업무를 담당했다. 이에 더해 부임하자마자 275억여원의 비용이 소요되는 청사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하는 등 극심한 압박과 스트레스를 받았을 것이다.
업무상 과로와 스트레스로 상병이 발병했거나 자연적인 진행속도 이상으로 급격히 악화된 것으로 봐야 한다며 A씨가 공무원연금공단을 상대로 낸 공무상요양 불승인처분 취소소송(서울행정법원 2018누59863)에서 원고승소 판결했다.
- 디지털손해사정법인
- 전화상담 : 02-458-8216
- 손해사정사 박성정
- 문자상담
'보상지식 > 판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식 근로계약 맺기 전 근무도 총 근무기간에 포함한다 (0) | 2022.03.04 |
---|---|
자신의 반려견 보호하려다 진돗개에 물린 피해자에게 가해 견주가 2900만원 배상하라 (0) | 2022.03.02 |
목욕시키던 루게릭 환자가 넘어져 사망했다면 요양원 측에 70% 책임이 있다 (0) | 2022.02.28 |
남·녀 직렬 정년 격차 14년, 합리적 이유 없이 근무상한연령이 다르다면 이는 부당한 차별에 해당돼 무효다. (0) | 2022.02.28 |
학부모 폭언 등에 시달리다 교사 우울증에 걸렸다면 공무상 재해 해당된다 (0) | 2022.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