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사에서 하도급 받은 업체로부터 형틀작업 도급받은 사람이 작업 하다가 사망했더라도 업무상 재해로 볼 수 없다
요지
주상복합아파트 신축 공사에서 골조공사를 하도급 받은 업체로부터 형틀작업을 도급받아 작업하던 사람이 사망했더라도 업무상 재해로 볼 수 없다.
하도급업체로부터 작업과 관련한 별다른 지시·감독을 받은 바 없고, 하도급업체가 그 사람의 고용보험료를 납부했더라도 소속 근로자임을 전제로 한 건강보험료 등을 납부한 바 없어 근로자로 보기 어렵다는 이유
사실관계
A씨의 배우자 B씨는 2017년 9월부터 C사가 시공한 인천의 한 주상복합아파트 신축 공사에서 골조공사 부분을 하도급 받은 D사로부터 돈을 받고 공사현장에서 형틀작업을 했다.
그런데 2018년 3월 C사 소속 근로자가 공사현장 1층에서 용접작업을 하다 튄 불꽃과 불티가 대형화재로 번졌고 당시 지하에서 작업을 하던 B씨는 전신화상을 입고 사망했다.
A씨와 B씨의 장의비 등을 부담한 C사는 B씨가 회사 근로자로서 업무상 재해로 사망했다며 근로복지공단에 유족급여와 장의비 지급을 청구했다.
그러나 공단은 "B씨는 사고 당시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한 근로자에 해당하지 않았으므로, B씨의 사망은 업무상 재해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유족급여 및 장의비 지급을 거부했다.
이에 반발한 A씨는 공단에 처분을 취소해 달라는 심사청구를 했으나 같은 이유로 기각결정을 받았고, 산업재해보상보험재심사위원회에 재심사청구를 했지만 이마저도 기각되자 소송을 제기했다.
판결내용
서울행정법원 행정8부(당시 재판장 이종환 부장판사)는 판결문에서 D사는 공사의 하수급자로서 B씨에게 공기 내 형틀작업을 마쳐 줄 것을 요청하거나 각종 안전관리 및 현장관리 지시사항만을 전달했을 뿐 구체적 작업과 관련해서는 별다른 지시·감독을 하지 않았다. 형틀작업의 전문성을 갖춘 B씨가 인력 수급부터 개별 근로자의 노임 결정, 구체적인 업무수행 방법 등에 대한 독자적인 결정권을 가지고 작업을 한 것으로 보인다.
B씨와 D사 사이에 작성된 노임지불각서의 개별 노임단가는 총액에 맞춰 형식적으로 기재됐고, 실제로는 B씨가 D사로부터 기성률에 따라 산정된 공사대금을 지급받은 다음 개별 근로자들에게 협상에 따라 결정된 노임을 지급하고 나머지는 직접 취득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B씨는 D사 근로자가 아니라, D사로부터 형틀노무작업을 도급받아 자신의 계산으로 수행한 사업자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D사는 B씨로부터 소득세 등만 원천징수하고 고용보험료만을 납부했을 뿐 B씨가 근로자임을 전제로 한 건강보험료 등을 납부하지 않았다고 A씨가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유족급여 부지급처분 취소소송(서울행정법원 2020구합82048)에서 원고패소 판결했다.
- 디지털손해사정법인
- 전화상담 : 02-458-8216
- 손해사정사 박성정
- 문자상담
![체크플러스, 카카오톡 상담하기](https://blog.kakaocdn.net/dn/bSFfWt/btr9z91JuIB/pPIyhrKjjtRkpXFF6HSKdK/img.png)
![체크플러스 교통사고 보상금 자동산출](https://blog.kakaocdn.net/dn/ebAHFw/btr9wH5LDiB/RDSK3Gp2zarQSGOkhUWyv0/img.gif)
'보상지식 > 판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량의 잠금장치에 안전성이 부족하여 아기가 차 안에서 갇히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이는 제조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0) | 2023.04.14 |
---|---|
췌장암 걸린 토양 정화 근로자에 업무상 재해 인정된다 (0) | 2023.04.14 |
본인 날인 없는 계약서 특약만으로 추가대금 청구 못한다 (0) | 2023.04.11 |
시용기간도 퇴직금 산정 기초인 계속근로기간에 포함된다 (0) | 2023.04.11 |
급여체제가 호봉제에서 연봉제로 불리하게 바뀌었더라도 임금 등 별도약정 체결 않았다면 연봉제 규정이 적용된다 (0) | 2023.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