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근무 중 사고로 다쳐 특정부위 장애등급 받았다면 시행령 개정돼도 옛 등급 그대로 적용해야 한다.
![근무 중 사고로 다쳐 특정부위 장애등급 받았다면 시행령 개정돼도 옛 등급 그대로 적용해야 한다.](https://blog.kakaocdn.net/dn/byfkyy/btrRxVVopjG/Y8BkDlj4OoVT10HSFiuXd0/img.png)
요지
근무 중 사고로 여러 곳을 다쳐 특정 부위에 대해 장해등급을 받았다면 그 후에 장애등급의 기준이 달라졌더라도 이미 치료가 끝난 부위에 대해선 옛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
사실관계
건설 근로업자 조씨는 근무 중 척추와 입을 다쳐 2002년 2월에 척추에 대한 치료를 마치고 장해등급 제4급 판정을 받았다. 2010년 6월에 입 부위의 치료를 다시 받게 된 조씨가 장해급여를 청구하자 근로복지공단은 "개정된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에 따르면 척추 장해등급이 전보다 낮아지고 이를 기준으로 산정한 최종 장해등급으로는 추가로 보상금을 받을 수 없다"는 처분을 내렸다.
판결내용
창원지법 행정단독 강부영 판사는 판결문에서 신시행령이 개정되기 전에 치료가 끝난 척추 부위의 장해에 대하여는 구 시행령에 따라 이미 결정된 장해등급을 그대로 적용해야 한다며 여기에 개정된 신시행령에 따라 판정된 입 부위의 장해등급을 고려해 신시행령에 따라 등급을 조정해 최종 장해등급을 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시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서 정한 장해급여는 근로자가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에 걸려 완치된 후 신체에 장해가 있는 경우에 그 지급사유가 발생하는 것이라며 별도의 경과규정이 없는 이상 장해급여청구권은 그 권리를 취득할 당시의 근거법령에 따라 내용이 결정되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근무 중에 척추와 입을 다친 건설근로자 조모(52)씨가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장해급여 부지급 처분 취소소송(창원지방법원 2012구단66)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 디지털손해사정법인
- 전화상담 : 02-458-8216
- 손해사정사 박성정
- 문자상담
![체크플러스, 카카오톡 상담하기](https://blog.kakaocdn.net/dn/mlhq0/btrRyVz3KY6/2NZAu4780lkj8D45B406Kk/img.png)
![체크플러스 교통사고 보상금 자동산출](https://blog.kakaocdn.net/dn/Idm58/btrRzGoNXJG/cTf3GOxGkT2rHrePSHkzT0/img.gif)
'보상지식 > 판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사자 확인 소홀 엉뚱한 사람에 대출한 은행 배상책임 (0) | 2018.05.21 |
---|---|
폭설 조난 운전자, 구조요청 위해 차량 떠났다 동사하면 소유·사용·관리 중 사고로 보기 어려워 보험금 지급대상 아니다 (0) | 2018.05.18 |
운전자가 건널목 차단기 올리던 중 열차 충돌하면 '운전 중 사고' 해당 안 돼 (0) | 2018.05.18 |
정기적 출퇴근·업무 없고, 지휘·감독도 안받는 연봉제 프리랜서, 직장건보 가입 못해 (0) | 2018.05.18 |
쌍방폭행 건보급여 무조건 제한은 잘못이다. (0) | 2018.05.17 |